About
home
청년들의 시작
home
🏦

현금 및 현금성자산과 투자금융자산

현금: 지폐나 주화 등의 통화(유통화폐)를 의미.
현금성자산: 유동성이 매우 높은 단기 투자 자산으로써 확정된 금액.
현금성자산의 종류: 타인발행수표, 자기앞수표, 가계수표, 송금수표, 우편환증서, 배당금지급통지서 등이 있다.
(일반적으로 현금성자산은 취득일로부터 만기일이 3개월 이내인 투자자산이 현금성자산이 된다.)
만약 상품을 판매하고 대금으로 현금성자산인 타인발행수표를 받았다면 회계 처리는 이렇게 된다.
현금xxx / 상품매출xxx
타인발행수표만이 아닌 다른 현금성자산으로 대금을 받게되도 전부 현금으로 처리할 수 있다.
투자금융자산: 투자 또는 권리 행사를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자산으로써 보고 기간 말로부터 1년 이내에 만기가 도래하는 것은 단기투자금융자산(유동자산) / 보고기간 말로부터 1년 이후에 만기가 도래하는 것은 장기투자금융자산이다(비유동자산).
투자금융자산의 종류: 정기예금, 정기적금, 양도성예금증서(CD), 신종기업어음(CP), 초단기수익증권(MMF, MMDA) 등.
위 금융자산들의 만기가 1년 이내인가 이후인가로 유동자산와 비유동 자산이 나뉘고 1년 이내, 유동자산이라면 단기투자금융자산, 1년 이후, 비유동자산이라면 장기투자금융자산으로 구분된다.
위 투자금융자산은 정형화된 금융상품이라고도 부르는데, 투자목적의 금융상품이기에 현금 및 현금성자산으로 분류하지 않으며, 투자금융자산으로 분류한다. 다만, 정형화된 금융상품의 만기가 3개월 이내로 도래한다면 즉, 현금성자산의 정의를 만족할 때 현금 및 현금성자산으로 분류할 수 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