제 1장. 경리란 무엇인가?
1.
경리업무의 정의
-경영 관리
-관리 : 파악>통제>관리
-파악 : 수집>분류>연결
-수집: 갖고 있는 모든 정보를 수집.
-분류: 수집 한 정보를 분류.
-연결: 인과관계를 바탕으로 분류한 정보를 연결.
-경리업무의 목적
-내부관리: 회사 내부의 자본이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 등을 관리하는 것.
-외부보고의 보조: 은행, 국세청, 투자자 등에게 보고하는 것.
2.
대한민국 중소기업의 경리
중소기업은 보통 소규모로 운영되기에, 초반에 자원이 적다. 즉 경리 업무는 중요하지만 지금 당장 수익,지출이 없으니 경리 업무가 진행 될 수 없기 때문에, 경리 업무의 중요도가 낮아지게 됨, 즉, 경리 업무가 나중으로 밀리게 되어서 나중에 부랴부랴 하려고하면 제대로 되지 않게 되는 것이 지금 경리업무 시스템의 한계.
3.
계정과목과 용도
-성격 차이: 계정과목은 재무회계 등에서 사용하는 말/용도는 경영 업무 등에서 사용하는 말.
-적용 원리: 계정과목은 거의 발생주의/용도는 거의 현금주의로 처리하게 됨.
4.
경리와 회계의 관계
-회계의 목적: 국세청, 은행, 주주 등에게 외부 보고를 하기 위함.
-경리의 목적: 대표자의 회사 경영에 대한 의사결정을 돕기 위함.
기장이란?
장부를 기록하는 것(단식 장부, 복식 장부 등)
회계의 종류
재무회계 | 세무회계 | 원가/관리회계 | |
보고
대상 | 외부 | 국세청 | 대표 |
적용
기준 | 기업회계 기준 | 세법 | X(대표) |
주요
업무 | 재무제표 | 세금 | 대표 |
업무
수행자 | 세무대리인 | 세무대리인 | 경리 |
6.
경리직원의 윤리
횡령 기타 범법행위 시 처벌
횡령의 사례
매입대금 횡령
개인 물품 구매
소모품 통정매매
매출대금 횡령
횡령 방지를 위한 방법
-인력 관리: 주문, 검수 등 인력을 분배한다.(중소기업은 인력부족으로 힘들 수 있지만 꼭 하면 좋을 것.)
-시스템 관리
-수금 정보 공유
-비교 견적서 첨부
7.
경리업무의 관계기관
-국세청
-4대 보험 고안
-기타 금융기관
8.
외부 전문가와의 업무 분장
-세무 대리인
-세무 대리 서비스의 종류: 기장 대리, 신고 대리.
-세무 대리 서비스의 변천사: 세금 신고→4대 보험→절세 컨설팅→경리→경영 컨설팅.
-수임 동의의 의미: 세무사무실과 고객 간의 업무 위임에 관한 동의.
-노무 대리인: 노무에 관한 모든 일을 처리 함.